티스토리 뷰

[보도자료] 보건복지부 '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의료접근성 강화' 외

[보건복지부]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의료접근성 강화

 

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의료접근성 강화

다양한 장애특성에 적합한 원격의료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착수

  • 금년 9월부터 재가 장애인, 장애인복지시설 입소 장애인,복지관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원격의료 시범사업 실시

    - 영남권역재활병원(양산부산대학교병원) 주관, 의원급 의료기관 2개소 참여, 부산·울산·경남 지역 장애인 150여명 대상

  • 이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 대상으로 장애 관련 합병증(욕창, 관절 구축, 인공호흡기 관리 등)의 모니터링 및 관리, 경증질환 진료 등을 방문간호사 등과 연계하여 원격협진 형태로 서비스 제공

    - 복지관 이용 경증 장애인에게는 혈압·혈당 모니터링 및 관리, 만성질환, 근골격계질환 등에 대한 건강상담 등 제공

  • 장애인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향상 및 만성질환 관리 등을 통한 건강상태 개선 기대


보건복지부(장관 정진엽)는 9월부터 부산, 울산, 경남지역 재가 장애인 및 장애인복지시설 거주 장애인,
복지관 이용 장애인을 위한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.


그간 정부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, 장애인, 도서벽지 주민, 격오지 부대 군 장병, 원양선박 선원 등
취약계층의 의료복지를 실현하고 공공의료를 보완하기 위해 원격의료 확대를 추진해 왔으며,

* 8월 모집된 일부 환자에 대해서는 우선 서비스 제공중

장애인 원격의료 서비스 모형

이번 시범사업은 거동이 불편해 의료기관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도 의료서비스를 보다 쉽게
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 특성에 적합한 원격의료서비스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.

  • (중증장애인) 장애인의 집으로 주기적(격주)으로 간호사가 방문하여(시설의 경우 시설 소속 간호사) 의료기관 의사와 원격협진을 실시한다.
    • 간호사는 의료기관에 있는 의사에게 환자상태를 보고하고, 의사 자문을 받아 환자 상태에 적합한 합병증·후유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.
    • 의사는 간호사의 보고 또는 화상통신을 통해 환자 상태를 확인하고, 장애인 당사자 또는 가족에게 합병증·후유증 관리를 위한 적절한 상담을 제공한다.
    • 이러한 협진을 통해 환자는 욕창, 관절 구축, 인공호흡기 관리 등 장애 관련 합병증·후유증의 모니터링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.
  • (경증장애인)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에게는 장애인의 유병률이 높은 고혈압, 당뇨 등 만성질환*을 상시 관리하는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.

    * 장애인 70% 이상이 고혈압, 당뇨 등 만성질환이 있다고 응답(2014 장애인실태조사)

    • 환자는 복지관에 설치된 원격의료 장비(화상시스템 등) 및 개인별 장비(혈압계, 혈당계)를 통해 혈압, 혈당 등을 측정한다.
    • 의료기관(의원)에서 의사는 이를 주기적으로 관리하고, 직접 진료가 필요한 경우 동네의원이나 진료 받고 있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도록 안내한다.


<시범사업 개요>

  • (사업기간) ‘16.6∼12월
  • (사업주관) 영남권역재활병원(양산부산대학교병원)
  • (참여기관) 부산·경남 지역 의원급 의료기관 2개소, 복지관 3개소, 장애인복지시설 3개소 (* 참여기관 모집 8월 기완료)
  • (서비스 대상) 부산, 경남, 울산 지역 장애인 150명(재가장애인 40명, 복지시설 거주 장애인 50명, 복지관 이용 장애인 60명)
  • (서비스모델) ①의원-병원-간호사간 원격협진을 통한 중증장애인 합병증 및 후유증 관리, ②만성질환 모니터링 등 원격건강관리
  • (활용장비) 화상 시스템과 혈압, 혈당,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

<기대효과>

  • 거동불편 장애인의 의료 접근성 향상
    • 와상상태의 중증장애인이 의료기관을 방문하려 할 경우 주위의 도움과 비용부담이 높은 사설 구급차를 이용해야 하는 등 의료기관 이용에 곤란을 겪고 있다.
    •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시설의 경우 촉탁의와 간호사 등을 배치하고, 재가 장애인의 경우 가정간호 등 간호사의 방문간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한계가 있었다.

      - 촉탁의의 경우 의사가 시설을 방문하는 경우에만 진료를 받을 수 있고 방문간호는 간호사의 판단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제때에 적절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.*

      * 장애인 원격의료 사례 붙임 참고

    • 원격의료가 도입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의사로부터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상담을 제공받을 수 있고, 간호사로부터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의료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.
  • 만성질환 관리 강화를 통한 건강증진
    • 장애인은 신체활동 부족으로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인 비만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.

      * 비만율(‘12년 기준) : 장애인 39.1% vs 전체인구 32.6%

    • 장애인복지관 등 장애인이 자주 이용하는 시설과 의료기관을 원격의료시스템으로 연결하여 꾸준히 만성질환을 관리해 줄 경우 장애인 건강 상태 개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


보건복지부 관계자는 “장애인의 경우 접근성의 제약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
원격의료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대상”이라고 강조하고,

“이번 시범사업이 장애인의 의료접근성 문제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”고 밝혔다.

이와 함께, “내년 12월 시행 예정인 ‘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*(’15.12월 제정)‘에
따라 장애인의 의료접근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사업과 제도 모형을 준비중에 있으며”

* 주요내용 : 장애인건강검진사업, 장애인건강관리사업, 장애인주치의, 재활운동 및 체육 등의 제도 및

서비스 도입, 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, 재활의료기관 등 장애인 건강 및 의료서비스 관련 전달체계 구축 등

“장애인의 의료보장에 대한 필요도를 반영한 정책모형을 개발하여 하위법령 제정 등 법 시행을 차질 없이 준비해 가겠다”고 밝혔다.

 

url: http://field.incheon.go.kr/board/806/1943880?category=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

 

2. [보건복지부] 2017년도 보건복지부 예산(안) 금년 대비 3.3% 증가한 57.7조원

① 생계급여 인상, 읍면동 복지허브화 확대, 노인일자리 지원 등 맞춤형복지는 더욱 내실있게 지원
② 난임시술비 지원 확대, 만 5세 미만 독감접종 무료실시, 고위험군 잠복결핵 예방 등에 집중 투자
③ 바이오헬스 7대강국 도약을 위한 보건산업 투자 강화

[보도자료]2017년도_보건복지부_예산(안)_금년_대비_3.3%_증가한_57.7조원.hwp

[보도자료]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의료접근성 강화.hwp

 

댓글